파이프라인
세포치료제 의약품 파이프라인
구분 구분 clinical
  • Research
  • Preclinical
  • Phase 1/2a상
  • 2b상
  • 3상
배뇨장애 간질성 방광염

개발단계 희귀의약품지정

허가
저활동성방광
과민성방광
자가면역질환 아토피
두드러기
근골격계 스포츠 손상
신경계 치매
비 의약품 파이프라인
구분
  • Research
  • Preclinical
  • 상업화
비고
알츠하이머 치매 돼지
개발 완료, 양산
생체 유래 유효물질
개발 및 인허가 완료, 양산
배뇨장애 질환
간질성 방광염 치료제(MR-MC-01)

원인 불명의 방광조직 손상 및 극심한 염증성 질환으로 여성환자의 비율이 90% 이상인 질환입니다. 2020.11.12 식약처 고시 제30호로 개발단계 희귀 의약품으로 지정되었습니다.

간질성 방광염과 MR-MC-01
  • 비정상적 감각성 절박뇨 외 빈뇨, 방광통을 증상으로 하며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성 환자 비율이 90% 발병하는 질환
  • 특별한 치료약물이나 치료술이 없으며 보조적 치료제로 Dimethyl sulfoxide (DMSO)와 Pentosan polysulfate sodium (PPS)를 주성분으로 하는 의약품이 시판 중
  • 대부분의 국가에서 희귀질환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전세계 환자수는 약 5~700만명 (미국 500만명)으로 추산되며 시장규모는 4.02억 달러 (2022년)로 추산
  • 급성 (2종) 및 만성 (1종) 질환동물모델을 활용한 세포치료제 유효성 입증
  • 간질성 방광염 대표증상인 빈뇨증상의 정상수준으로 개선 외에도 배뇨량, 방광 용적, 잔뇨량, 배뇨 시 방광 수축능 등의 방광기능지표에서 모두 개선됨을 입증
  • 국제전문학술지 발표를 통한 신뢰도 확보
임상시험 계획 승인 및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
  • 간질성 방광염에 대한 연구자 주도 임상시험 식약처 승인 (제32855호)
  • 간질성 방광염에 대한 상업목적 임상시험 식약처 승인 (제33308호)
  • MR-MC-01,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 (제30호)
  • 연구자 임상시험 계획 승인서 (제 32855호)
  • 상업 임상시험 계획 승인서 (제 33308호)
  • 개발단계 희귀의약품 지정서 (제 30호)
MR-MC-01의 안전성과 유효성
  • 전문기관과 인증기관 시험을 통해 MR-MC-01은 면역원성이 없거나 극히 적음을 입증
  • GLP인증 기관으로부터 단회 투여 독성 과 면역독성, 종양원성 및 체내분포 평가 모두 안전함을 인증 받음
  • 다양한 배뇨장애질환 동물모델에서 치료능을 입증
  • 염증성 및 자가 면역성 피부질환 동물 모델에서 치료 가능성을 확인
외부 기관에서 인증된 MR-MC-01의 안전성
  • 면역원성
  • 단회투여 독성
  • 종양원성
  • 체내분포
MR-MC-01의 효력평가를 위한 간질성 방광염 동물모델의 다양성
  • 급성모델

    염화수소(HCl) 유도 간질성 방광염 모델 l Sci Rep. 2017 Aug 21;7(1):8872

  • 급성모델

    케타민(Ketamine) 유도 간질성 방광염 모델 l Int Neurourol J. 2018;22

  • 만성모델

    지질다당류(LPS) 유도 간질성 방광염 모델 l Theranostics. 2018 Nov 9;8(20):5610-5624

간질성 방광염 동물모델에서 MR-MC-01의 효력평가 (비임상)
  • 정상동물 군 (Sham)
  • 만성 간질성 방광염 동물 군 (LPS)
  • 세포투여 동물 군 (MR-MC-01)
    • 0.35
    • 0.15
    • 0.26
    배뇨량
    • 0.66
    • 0.18
    • 0.36
    방광용량
    • 0.31
    • 0.03
    • .0.1
    잔뇨량
    • 98.29
    • 27.42
    • 54.29
    배뇨간격
    • 53.29
    • 95.86
    • 66.85
    배뇨압
    • 31
    • 60.95
    • 37.25
    기저압
    • 53.43
    • 97.17
    • 67.07
    최대압력
시판 의약품과 MR-MC-01의 치료 효능 비교
  • 미국 FDA 허가 의약품의 주성분인 DMSO와 MR-MC-01과의 치료 효능 비교를 위해 비임상 시험을 수행함
  • MR-MC-01의 방광 기능학적 개선 및 병리학적 개선 모두 확인하였으며 이는 DMSO보다 월등함을 확인
  • 정상동물 군 (Sham)
  • 만성 간질성 방광염 동물 군 (LPS)
  • 세포투여 동물 군 (MR-MC-01)
  • 허가의약품 주성분 투여 동물 군 (DMSO)
    • 102.8
    • 15.94
    • 72.2
    • 45.69
    배뇨간격
    • 53.47
    • 93.82
    • 59.3
    • 79.49
    배뇨압
    • 28.15
    • 55.76
    • 31.96
    • 36.26
    기저압
    • 53.53
    • 92.63
    • 59.36
    • 79.71
    최대압력
    • 0.37
    • 0.07
    • 0.34
    • 0.22
    배뇨량
    • 0.35
    • 0.15
    • 0.26
    • 0.22
    방광용량
    • 0.32
    • 0.04
    • 0.14
    • 0.09
    잔뇨량
작용기전
  • MR-MC-01 투여 후, 방광조직 분석을 통해 세포사멸 억제, 염증으로 인한 섬유화 감소, 염증세포인 면역세포 침윤 감소 효과 확인
  • 분자수준 분석을 통해 Wnt와 IGF 신호전달 활성화 조절작용을 통한 약리효과 확인
  • 방광 내 염증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시 MR-MC-01 투여 후 정상화 확인
  • 항 세포사멸
    • 정상
    • 간질성 방광염
    • 세포투여 MR-MC-01
    • 0.64
    • 6.96
    • 1.25
  • 항 섬유화
    • 정상
    • 간질성 방광염
    • 세포투여 MR-MC-01
    • 4.31
    • 6.03
    • 4.54
  • 비만세포 침윤억제
    • 정상
    • 간질성 방광염
    • 세포투여 MR-MC-01
    • 0.98
    • 4.86
    • 1.3
  • Wnt - IGF 세포신호 활성
      • 65
      • 42
      • 45
      배뇨압
      • 62
      • 30
      • 33
      배뇨간격
      • 0.25
      • 0.14
      • 0.12
      배뇨량
      • 0.42
      • 0.19
      • 0.22
      방광용량
      • 0
      • 7.5
      • 4.2
      비배뇨수축
    • MMSC+PBS

    • MMSC+ Gefitinib

    • MMSC+ Indomethacin

  • 방광기능 향상 관련 유전자 발현
저활동성 방광

고령화에 따른 방광근육의 기능저하 또는 신경손상을 원인으로 방광내에 소변이 충만하여도 배뇨가 안되는 질환입니다. 고령화에 따라 환자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
저활동성 방광과 MMSC
  • 배뇨근 수축저하를 시사하는 복합증상군으로 잔뇨감, 배뇨시간 지연을 특징으로 하며 지연뇨와 약뇨를 동반하는 배뇨장애질환
  • 노화와 관련된 질환으로 연령증가에 따라 유병율은 증가되며 70세 고령환자의 경우 48%로 보고됨
  • 근원적 치료방법이 부재하며 약물치료와 함께 도뇨관 삽입을 통한 강제 배뇨방법이 유일하나 요로손상, 감염등 합병증 발병위험 상존
  • 허혈성 및 당뇨성 저활동성 방광 질환모델에 MR-MC-01투여 후 배뇨량, 방광 용적, 잔뇨량, 방광압력 등 방광 기능 개선효과 검증
  • 국제전문학술지 발표를 통한 신뢰도 확보
저활동성 방광과 MMSC
  • 동물모델 1.

    허혈성 저활동성 방광모델 l J Clin Med. 2020 Sep 3;9(9):2853

  • 동물모델 2.

    당뇨성 저활동성 방광모델

저활동성 방광동물모델에서 MMSC 효력평가 (비임상)
  • 정상동물 군
  • 당뇨성 저활동성 방광 동물 군
  • 세포투여 동물 군 (MMSC)
    • 0.35
    • 0.15
    • 0.26
    배뇨량
    • 0.66
    • 0.18
    • 0.36
    방광용량
    • 0.31
    • 0.03
    • .0.1
    잔뇨량
    • 98.29
    • 27.42
    • 54.29
    배뇨간격
    • 53.29
    • 95.86
    • 66.85
    배뇨압
    • 31
    • 60.95
    • 37.25
    기저압
    • 53.43
    • 97.17
    • 67.07
    최대압력
작용기전
  • KCl 처리 및 EFS (전기자극시험)에 대한 반응도 분석 시 MR-MC-01투여군의 반응도 개선
  • ATP에 대한 근수축 및 carbachol 농도의존적 반응성 확인
  • 조직분석시 이식세포 생착 및 근세포로의 전환 확인
  • 방광조직의 근수축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시 MR-MC-01 투여 후 정상화 확인
  • KCl에 대한 수축 및 EFS에 대한 반응
  • 1mM ATP에 대한 수축 및 카르바콜 농도 반응
  • 이식 된 MMSC의 생착 및 근육 세포로의 전환
    • a-SMA/GFP
      DM+M-MSC
      (muscle)
    • Ki-67
    • Ki-67
    • DM+M-MSC
      (pericyte)
    • DAPI (Nuelear)
      DM+M-MSC
      (a-SMA/GFP)
    • GFP (M-MSC)
    • Tissue markers
    • Merged
    • DM+M-MSC
      (Desmin/GFP)
  • 근육 수축 관련 유전자 발현 정상화 확인
과민성 방광

다양한 원인에 의해 배뇨근이 비정상적으로 수축하여 환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배뇨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
젊은 층을 중심으로 환자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평가됩니다.

과민성 방광과 MMSC
  • 요절박(소변이 마려우면 참치 못하는 증상)을 주 증상으로 대개 빈뇨, 야간뇨의 증상을 함께 보이는 질환으로 절박성 요실금이 동반될 수 있음
  • 노화에 따라 증가하여 65세 이상에서는 10명 중 3명이 과민성 방광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, 전세계적으로 7억명 이상의 환자 존재
  • ‘A’ 社에서 B약물 등의 약물을 개발하였으나 보존적이며 부작용 다발함
  • 시장규모는 2017년 36.3억달러, 2025년 58.6억달러로 성장 예상
  • 실제 임상을 대변할 수 있는 동물모델 확립방법 확보
실제 임상을 대변할 수 있는 과민성 방광 동물모델 확립
  • Sham
  • MR-MC-01

Stem Cells Dev. 2014 Mar 15;23(6):654-63

    • 200
    • 40
    배뇨간격
    • 32
    • 29
    배뇨압
    • 0.1
    • 0.4
    방광용량
    • 1
    • 0.6
    잔뇨량
신경계 질환
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

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베타아밀로이드 침착, 타우단백질 과인산화에 따라 뇌세포가 사멸되어 인지능력 소실 및 행동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.

자가면역성 질환
아토피/두드러기 치료제

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이며, 면역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집니다. MMSC는 mast cell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, 면역조절능력을 통해 면역반응을 억제하여, 특히 오말리주맙, 히스타민 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군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.

염증성 및 자가면역성 피부질환과 MMSC
  • 아토피 피부염 (atopic dermatitis)로 대변되는 염증성 및 자가면역성 피부질환은 21세기 현대인의 난치병 중 하나로 소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피부질환
  •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극심한 가려움증 등이 수반되는 난치성 피부질환
  • 전세계적으로 수억명의 환자가 존재하고 거대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
  • 시장규모는 2022년 56.3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
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에서 MMSC-세포분비물의 효력평가 (비임상)
  • 용도특허 등록 완료
  • 비임상 단계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에 관한 자료 확보 중
  • 국내 저명 임상전문가 컨설팅을 통한 개발전략 수립 중
Biomedicines. 2020 Oct 21;8(10):439
  • 아토피 피부염 동물 군(DNCB)정상
  • 세포분비물 처치군 MMSC(CM)
  • 0.2
    IL-1b
  • 0.7
    IL-4
  • 0.4
    IL-6
  • 0.4
    IL-10
  • 0.5
    IL-13
  • 0.7
    Ig E

[AP model (DNCB) 측정값 기준]

  • 정상동물 군
  • 아토피 피부염 동물 군 (DNCB)
  • 세포분비물 처치군 MMSC(CM)

[Skin thickness, H&E, 10 x]

[Mast cell number, Toluidine blue, 20 x]

근골격계 질환
스포츠 손상 (회전근개 파열)

MMSC의 염증억제, 조직재생능력은 신체조직의 손상을 회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. 회전근개 손상 동물모델에서 MMSC의 효력이 입증되었습니다.

질환 동물 모델 제작 및 평가

* 극상근 및 극하근 인대 절제

  • 총 8주 모니터링
  • 조직학적 분석
  • 염증관련 사이토카인 분석
  • 기능 평가
조직학적 분석 – 조직섬유화 억제, 염증세포 감소 및 조직재생효과 확인
  • 극상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    • 24 h
    • 72 h
    • 7-d
    • 4 wks
    • 8wks
  • 극하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  • 극상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    • 24 h
    • 72 h
    • 7-d
    • 4 wks
    • 8wks
  • 극하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  • 극상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    • 24 h
    • 72 h
    • 7-d
    • 4 wks
    • 8wks
  • 극하근
    • Control
    • MMSC
염증성 싸이토카인 분석 – 조직내 염증성 싸이토카인 현저한 감소효과 확인